본문 바로가기
인포 TIP/정치,시사

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추경 핵심 정리|지원대상 확대 및 인센티브 조기 지급 변경

by 빨간거짓말 2025. 5. 15.
반응형

---

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추경 핵심 정리|지원대상 확대 및 인센티브 조기 지급 변경

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1차 추가경정예산(추경)을 통해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에 중요한 변화가 생겼습니다. 청년 고용 확대 및 기업 채용 활성화를 위한 이번 개정 내용을 정리합니다. (이미지 출처 - 대한민국 정책브리핑)


📌 목차

  1. 제도 개요 및 추경 목적
  2. 2025 추경 후 달라지는 주요 내용
  3. 세부 비교표 (2024 vs 2025)
  4. 기대 효과 및 유의사항
  5. FAQ

1️⃣ 제도 개요 및 추경 목적
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중소·중견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 시, 일정 기간 근속 조건을 충족할 경우 정부가 기업에 인건비 성격의 장려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2025년 1차 추경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목적이 반영되었습니다:

  • 경기 불확실성 속 청년 고용 안정성 강화
  • 채용 위축에 대응한 기업 지원 확대
  • 조기 인센티브 지급을 통한 참여 기업 및 청년의 동기 부여

2️⃣ 2025 추경 후 달라지는 주요 내용

항목 변경 전 (2024년) 변경 후 (2025 추경)
예산 규모 7,772억 원 8,026억 원 (+254억 원)
지원 인원 10만 명 10.7만 명 (7천 명 확대)
지원 대상 취업애로청년 + 대학교 졸업예정자 포함
인센티브 지급 시점 18, 24개월차 6, 12, 18, 24개월차 분할 지급

👉 핵심 포인트: 대졸 예정자도 참여 가능 + 조기지급으로 실질적 체감 혜택 확대

※세부 정책은 지자체 또는 정부 추가 공고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

3️⃣ 세부 비교표: 한눈에 보는 제도 변경

세부 항목 2024년 기준 2025년 추경 이후
지원금 총액 최대 900만 원 (기업에 지급) 동일
근속 요건 2년 정규직 근속 동일 (단, 지급시점만 조정)
인센티브 지급 18·24개월차 2회 6·12·18·24개월차 4회 분할
대상 청년 만 15~34세 취업애로청년 + 대졸 예정자 7천 명 포함
신청 방식 기업이 온라인으로 신청 동일 (고용노동부 HRD-Net)

4️⃣ 기대 효과 및 유의사항

✅ 기대 효과

  • 인센티브 지급 시점 조정으로 청년의 조기 이직 방지
  • 대졸 예정자 포함으로 청년 고용 사각지대 해소
  • 기업에는 인건비 지원으로 신규 채용 유도

⚠ 유의사항

  • 예산은 선착순 소진 방식 → 신청 지연 시 미지급 가능
  • 근속 요건 미충족 시 환수 가능성 존재
  • 졸업예정자 포함은 2025년 한시 적용 가능성 있음

5️⃣ FAQ

Q1. 2025년부터는 졸업예정자도 신청 가능한가요?

A. 네, 대학교 졸업 예정자 7천 명이 신규 지원대상으로 포함됐습니다.

Q2. 인센티브를 6개월 만에 일부 받을 수 있는 건가요?

A. 맞습니다. 기존엔 18개월차까지 기다려야 했지만, 이제는 6·12개월차에도 분할 지급됩니다.

Q3. 기업은 어떻게 신청하나요?

A. HRD-Net을 통해 온라인 신청 가능하며, 채용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.

Q4. 장려금은 청년에게 직접 지급되나요?

A. 아닙니다. 청년이 아닌 기업에 인건비 형태로 지급됩니다.


※ 본 글은 2025년 5월 기준 고용노동부 및 관계기관 공식 발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세부 정책은 지자체 또는 정부 추가 공고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