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s 구문
css의 구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3가지를 이해해야한다.
- 선택자 (selector)
- 속성명 (propery)
- 속성값 (value)
<a> 라는 선택자 사용하여 속성명인 백그라운드 컬러 즉 배경색을 속성값 엘로우라는 스타일을 입힌것이다. 즉 <a>라는 선택자의 배경은 노란색입니다.라고 이야기를 하면 쉽다. 속성과 송석값은 계속적으로 추가가 가능한데 이때는 ;의 기호를 사용하여 추가를 한다.
그리고 a와 동일한 속성값을 가지고 싶은 선택자가 있다면
a, td { background-color: yollow; font-size: 16px; }
이런식으로 선택자 , 의 사용으로 중복 사용이 가능하다.
3가지 유형의 선택자
선택자중에서는 총 3가지의 선택자 타입을 가진다.
id 선택자
class 선택자
type 선택자
id 선택자
<div id="test">
test
</div>
class 선택자
type 선택자
<style type="text/css">
h1 {
color : blue;
font-size : 24px;
}
</style>
<h1>안녕하세요 꼼수블로그</h1>
주석처리
<style type="text/css">
<!--
/*해당 클래스의 내용을 설명한다. 폰트의 사이즈는 15px이다.*/
.ft_15 {
font-size:15px;
}
//-->
</style>
<p class="ft_15">안녕하세요 꼼수블러그</p>
css의 구문이 짧거나 간단할 경우 주석처리가 별로 크게 필요가 없지만 홈페이지의 모든 문서에 연결된 외부 css 파일의 경우 css 구문이 많으면서 복잡하다 이때 주석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css문서의 관리가 편해진다.
'홈페이지 > 웹디자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챗gpt 나도 한번 써봤다! 자동 코딩 소스 생성 (0) | 2023.08.23 |
---|---|
웹 표준을 위한 태그사용 기본수칙 (1) | 2016.11.21 |
가독성을 높이는 css 폰트속성 (1) | 2016.11.18 |
웹 호환성을 위한 크로스브라우징 css핵 (0) | 2016.11.17 |
웹접근성과 웹표준의 시작! css 사용하는 세가지 방법 (0) | 2016.11.15 |